본문 바로가기

공무원 & 공공기관

공무원 정근수당에 대해 알아볼까요?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공무원 정근수당 관련입니다. 공무원의 수당은 20여개로 상당히 많은데요. 그 중 매년 1월과 7월에 발생되는 정근수당과 정근수당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정근수당은 크게 두 파트로 나뉘는데요. 첫 번째 파트는 정근수당 두 번째 파트는 정근수당 가산금 입니다. 정근수당 관련 규정은 지방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 [시행 2020. 1. 7.] [대통령령 제30350호, 2020. 1. 7. 일부개정] 에 있구요. 관련법령 6조(정근수당) ①공무원에게는 예산의 범위안에서 근무연수에 따라 매년 1월과 7월의 보수지급일에 아래의 지급구분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정근수당을 지급한다고 합니다. 위에 말씀드렸듯이 정근수당은 크게 두 파트로 나뉘는데요. 우선 첫 번째인 정근수당에 대해 알.. 더보기
공무원 연가 당겨쓰기 (공무원 휴가규정) 안녕하세요 오늘 포스팅은 공무원 연가 당겨쓰기입니다. 공무원으로 임용이 돼서 개인적이고 특별한 사유 등으로 인해 해당 연가를 다 쓰시고 추가로 연가를 써야할 경우가 종종 있는데요. 그럴 때 사용하는 것이 바로 공무원 연가 당겨쓰기입니다. 공무원 연가 당겨쓰기는 [지방공무원 복무규정 일부개정(2018.12.18. 공포)]에 있으며, 당시 입법취지(제안이유 및 주요내용)는 다음과 같습니다. - 지방직 공무원 신규 임용자 및 저연차(4년차 미만) 공무원 연가일수 증대 - 연가사용 활성화를 위한 연가사용권장제 도입(권장 연가일수 10일 이상) - 일과 가정 양립(워라밸)을 통한 출산, 육아 병행할 수 있는 문화 확산시킬 수 있도록 - 자녀가 있거나 임신 중인 아빠, 엄마 공무원 복무 제도 개선 이라고 하네요. .. 더보기
2020년 공무원 봉급표 안녕하세요. 오늘 포스팅은 2020년 공무원 봉급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부터 공무원 보수는 기존에 비해 2.8% 인상된다고 하는데요. 아울러 재난발생 현장 공무원에게 지급하는 ‘비상근무수당’도 같이 오른다고 합니다. 인사혁신처는 위와 같은 내용의 ‘지방공무원 보수규정 일부개정령안’ 과 ‘지방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 일부개정령안’을 기안하여 30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고 밝혔습니다. 개정안은 민간임금 수준과 물가를 고려하여 2.8% 인상하도록 했다고 합니다. 2020년의 공무원 봉급표에 따르면 공무원 9급 1호봉의 기본급은 약 164만원 정도라고 합니다. 최근 공무원 처우개선을 위하여 인금인상률을 살펴보면, 2016년도에 3%, 2017년도 3.5%, 2018년도 2.6%, 2019.. 더보기
2019 공무원 봉급표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2019년 공무원 봉급인상 관련입니다.공무원 2019년도 공무원 봉급은 전년대비 1.8% 인상하기로 결정이 났는데요.보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를 같이 보시겠습니다. 정부는 12월 12일, 공공기관운영위원회에서 위와 같은 내용의 2019년도 공기업·준정부기관 예산편성지침을 확정했다고 합니다. 내년 총인건비 인상률은 공무원 임금 인상률(1.8%)을 반영해 전년 대비 1.8%로 결정했다고 하네요. 공무원 임금은 2011년부터 내년까지 9년 연속으로 오른것이며,다만 내년 인상률 수준은 2014년(1.7%) 이후 5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라고 합니다. 한편 내년에 전체 공무원의 평균 연봉은 6000만원대 이상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인사혁신처는 지난 4월 25일 관보에 ‘20.. 더보기
[2018년 공무원 채용인원] 2018 공무원 증원 예산안, 여야합의가 가능할까?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2018년도 공무원 증원 관련 포스팅입니다. 오늘 같이 알아볼 것은 2018년 국가직 공무원 TO를 같이 살펴보고, 현재 여야가 예산처리 난항을 겪고 있는 공무원 증원에 대해 포스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정부가 2018년에 편성한 429조원 규모의 2018 예산안 중 핵심 쟁점은 공무원 증원을 위한 예산이라고 합니다. 정부는 내년 예산안에 중앙직 공무원 1만 5000명 증원에 필요한 인건비 4000억원을 포함했는데요. 자유한국당은 이를 ‘퍼주기식 예산’이라며 비난을 하고 있습니다. 2018년도 공무원 증원 계획은 총 3만 명으로 중앙직 1만5천명, 지방직 1만5천 명씩이라고 합니다. 지방직 1만5천명의 경우 지방교부세와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을 활용해 지자체가 증원하며, 또한 파출소.. 더보기
[2017 공무원시험] 5급 '헌법' 추가, 7급엔 영어 '토익·텝스' 대체 이번 포스팅은 공무원 수험관련 포스팅입니다. 이제 2016년이 지나가고 2017년이 얼마남지 않았는데요. 2017년 공무원 시험간 변동사항에 대해 오늘은 포스팅을 해볼까 합니다. 1. 5급 공채시험과 외교관후보자 선발시험의 제1차 시험에 ‘헌법’ 과목이 추가 헌법은 객관식 문제로 출제되며 수험생 부담을 줄이기 위해 과목 합격제(60점 이상)를 실시한다고 합니다. 5급 공채 "헌법" 의 시험방법은 1차 시험의 1교시(09:00 ~ 09:25, 25분) 라고 합니다. 헌법과목을 시험본 후 PSAT 언어논리영역(90분) 등을 차례대로 평가를 한 후 나머지 2, 3교시 시험을 치른다고 합니다. 여기서 특이사항으로는 헌법은 객관식 문제로 수험생 부담을 줄이기 위해 과목 합격제(60점 이상)를 실시한다고 합니다. .. 더보기
공무원 봉급표 2017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공무원 관련 포스팅입니다. 2017년도에는 공무원의 보수가 현 봉급체제에서 3.5% 인상되고, 개인별 업무성과에 따라 봉급을 지급하는 성과연봉제가 5급까지 확대된다고 합니다. 또한 차관급 이상 정무직공무원의 연봉은 동결된다고 하네요. 인사혁신처는 위 내용을 포함하여, (지방)공무원 보수규정, (지방)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 개정안을 26일자로 입법예고 하였다고 합니다. 이에 대해 2016년 공무원 봉급표에 3.5%를 가산하여 아래와 같이 2017년 공무원 봉급표를 만들어 봤습니다. 맨 아래 비고란은 아직 반영이 안되어 있구요. 보다 자세한건 2017년도 공무원 보수규정이 입법된 후 일반직공무원과 일반직에 준하는 특정직 및 별정직 공무원 등의 봉급표(제5조 및 별표 1 관련).. 더보기
공무원 연가일수 계산법 이번 포스팅은 공무원 관련 포스팅입니다. 그중에서도 직장인 포함 모든 공무원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 사항인데요. 바로 공무원 연가일수를 계산하는 방법에 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공무원 연가일수 계산법은 바로 공무원 복무규정 제7조 (연가일수 및 연가보상비의 지급) 에 잘 나와있습니다. 공무원의 재직기간에 따른 연가일수는 다음과 같죠. 재직기간이 3개월 ~ 6개월 이면 연가일수가 3일 6개월 ~ 1년 미만 이면 연가일수가 6일 1년이상 ~ 1년 미만 이면 연가일수가 9일 2년이상 ~ 3년 미만 이면 연가일수가 12일 3년이상 ~ 4년 미만 이면 연가일수가 14일 4년이상 ~ 5년 미만 이면 연가일수가 17일 5년이상 ~ 6년 미만 이면 연가일수가 20일 6년 이상이면 연가일수가 21일 입니다. 즉, .. 더보기
[공무원 인사교류] 나라일터를 통해 공무원 인사교류에 성공하자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공무원 관련 포스팅입니다. 공무원에 임용이 된 후 간혹 개인적인 사정(결혼, 육아, 부모봉양)등으로 인해 현재 일하고 있는 기관에서 타 기관으로 인사이동을 원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는데요. 이같은 경우 어떻게 해야할까요? 바로 인사혁신처에서 운영하는 나라일터 라는 사이트를 통해 공무원 인사교류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1. 나라일터란? 나라일터란 국가기관인 인사혁신처에서 운영하는 사이트로써, 국가직, 지방직 공무원 등을 총 공무원을 망라하여 상호 인사교류를 시행할 수 있는 사이트를 말합니다. 2. 공무원 인사교류 대상 인사혁신처 나라일터에서 주관하는 공무원 인사교류 대상은 제한이 없습니다.국가직이건 지방직이건, 급수가 낮던 높던 상관이 없습니다. 3. 공무원 인사교류 방법 .. 더보기
2017년 공무원 채용 선발인원 공고 [행정직 5급 : 114명, 7급 224명, 9급 1331명] 이번 포스팅은 취업관련 포스팅 입니다. 인사혁신처에서 어제 17년도 국가공무원 채용 선발인원을 아래와 같이 예고했다고 합니다. 전체 선발인원은 6023명이라고 하네요. 내년 선발인원은 올해 선발한 5372명 보다 651명 늘어난 수치라고 합니다. 퍼센트로 따지면 12.1% 증가했다고 하네요. 이는 1981년에 공무원을 6870명 선발한 이후 최대 선발인원이라고 합니다. 이제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5급 공채로는 행정직군은 235명, 기술직군은 64명, 지역구분모집은 39명, 외교관후보자는 45명을 선발한다고 합니다. 7급에서는 행정직군 530명, 기술직군 168명, 외무영사직 32명을, 9급 공채는 행정직군 4508명, 기술직군 402명을 선발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가장 많이 준비하시는 행정직만 살.. 더보기